여러분 안녕하세요! 주택관리사에 관련되어진 연봉이 궁금해서 오셨군요!
지금부터 주택관리사의 연봉을 알려드립니다.
주택관리사 자격증만 있으면 어떤 직업을 가질 수 있나요?
가장 잘 알려진 사람은 아파트 건물과 아파트 관리 책임자입니다.
관리인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 관리사무소도 마찬가지입니다.
행정적인 관리자로도 작업할 수 있습니다.
주택관리공단에 참여하는 직원 또는 건설 업체의 관리부 및 행정 관리자로 일할수 있기도 합니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같은 공기업에 일할수도 있고
지방공사 기업의 임원으로서요. 일할 수 있대요.
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업체의 직원부터 주택관리를 전문적으로 하는 공무원까지
공동주택 및 건물 관리 용역업체의 창업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대경 건물 관리 사무소 공공건물 관리 책임자 그리고 건설업체의 부동산과 관련된 업무팀 에서 일할수 있으며
초고층의 건물 및 자하를 연계해서 만든 복합 건축물을에서 총괄재난 관리자 관련업종에 관련된 자격증이 있으면 수당 및 승급우대를 받을수 있습니다
주택관리사는 무슨 일을 하는지 아시나요?
주택관리사의 기본 업무는 공동주택의 건물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공동주택의 기본아파트에 관한 연구
펌프, 배관, 급배기 설비 관리 등의 기계 설비입니다.
전원 공급 장치, 발전기 장치, 배전반과 같은 전기 장비입니다.
배선, 가로등, 피뢰침 등, 엘리베이터 등의 편의시설,
차량출입시설, CCTV시설, 조경시설 등입니다.
이러한 모든 공동주택 건축물에 관련하여 점검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
이런 담당을 하는 것이 책임관리자라 말할 수 있습니다.
우선 관리사무소의 주택관리사 등 공동주택의 관리요원은
대부분의 전기관리자, 엔지니어, 환경미화원들은 서비스 회사를 통해 공동주택에서 일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인력배치, 민원대응, 긴급상황대응,
일정 관리, 서비스 회사의 중간 관리자 역할 등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오늘의 주제는 주택관리사의 연봉입니다
주택관리사의 월급입니다.
월급은 일하는 환경이나 지역/경력에 따라 다릅니다.
평균 250만원에서 300만원 정도가 보통이며
세대수가 많은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500만원 정도의 월급도 받는다고 합니다
주택관리사연봉입니다.
주택관리사의 평균 연봉은 3729만원입니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의 직급으로 본다면 사원(고졸)은 2903만원 사원-대졸(2,3년) 3085만원 사원 대졸(4년) 3259만원 주임 3564만원 대리 4093만원 과장 4626만원 차장 5104만원 부장 5386만원 이라고 합니다
주택관리사 인기가 많은 이유는 정년이 없는 전문가로서 노후 경제활동이 보장됩니다. 그래서 인기가 많습니다
2020년 5월부터 주택관리사 의무고용이 확대 규정되었습니다.
심지어 150세대 이하의 아파트에서도요.
입주자의 동의가 있어야 주택관리사가 관리할 수 있습니다.
주택 관리자들은 시험을 보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시험을 볼 수 있어서 인기가 많아요.
합격 후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관련분야에서 더 많은 선택사항이 있습니다. 그분야는 다양해서 경력을 쌓기가 좋습니다
그리고 성별도 상관없는 직업이라서 인기가 있습니다
주택관리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응시하여 취득할수 있습니다.
1차 시험에서 민법, 회계원리, 공동주택시설개론 총 3과목을 통과해야 합니다.
채점방법은 과목당 40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총 120문항 입니다
5가지 선택형 객관식 문제입니다. 그리고 시험시간은 회원원리와 공동주택시설개론 100분이며 민법은 50분 입니다
그리고 2차 시험은 주택관리 관계법규, 공동주택관리실무의 과목을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출제 되는데요
과목별 40문항으로 객관식은 24문항 주관식은 16문항 입니다 총 80문항 입니다
주택관리사를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자격증을 취득하여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유용한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풍기 버리는방법 여행 가방 캐리어버리는법 대형가전 버리기 (0) | 2022.09.20 |
---|---|
부모님 생신 축하 문구 무료 이미지 다운로드 (0) | 2022.09.13 |
국비지원 방문요양서비스 노인장기요양등급 신청 방법 혜택 알아보기 (0) | 2022.09.08 |
작업표시줄 아이콘 사라짐 안보임 해결방법 (0) | 2022.09.07 |
시말서 쓰는법 쓰는요령 작성방법과 예시(내용 사유) (1) | 2022.09.06 |